누설 전류(Leakage Current)는 전기가 정상적인 경로를 벗어나 다른 경로로 흐르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장비의 교류 또는 직류 회로에서 접지로 흐르는 전류가 누설 전류입니다. 만약 장비가 적절하게 접지되어 있지 않다면, 장비 오작동이나 화재 등 안전상의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누설 전류가 발생하는 상황은 다양한데, 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절연 불량: 전선이나 전기 장비의 절연체가 손상되거나 노화로 인해 절연 성능이 저하될 때 누설 전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적절한 접지: 접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전류가 예상치 못한 경로로 흐르면서 누설 전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기 설비의 결함: 전기 기기 내부의 결함이나 회로의 문제로 인해 누설 전류..
폴리아미드(PA)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중요한 재료 그룹입니다. PA는 나일론이라고도 불리며, 다양한 기계적, 화학적 특성을 제공하여 자동차, 전자, 의료, 건설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이 글에서는 PA의 대표적인 네 종류인 PA6, PA66, PA11, PA12의 주요 특성과 차별점을 비교 분석하고, 각 재료의 적합한 응용 분야를 살펴보겠습니다. 물성 PA6 PA66 PA11 PA12 인장 강도 (MPa) 75 83 48 54 굴곡 강도 (MPa) 100 110 60 65 인장 탄성률 (GPa) 2.7 2.8 1.4 1.5 융점 (°C) 220 260 185 178 수분 흡수율 (%) 1.3 1.1 0.3 0.25 *일반적인 값들로, 특정 브랜드나 등급에 따라 다소..
록타이트는 주로 진동이 발생하는 곳에 바르는 제품으로 나사산에 사용되는 혐기성 금속 접착제이다. 정토크 체결을 한 나사가 풀리는 이유는 진동이 작용하기 때문이고, 이를 억제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1. 볼트의 축력을 크게함 2. 볼트의 갯수를 늘림 3. 외력을 작게 설계 4. 볼트를 길게 설계 5. 록타이트 도포 이 중에서 록타이트 도포에 대해서 설명을 하고자 한다. 다만, 록타이트가 나사 풀림에 능사는 아니다. 특히 구조적으로 나사가 축 직각 방향으로 반복 하중을 받는 구조는 나사 체결체에게 가장 가혹하고 풀림에 직결적이기 때문에 록타이트는 풀림 현상을 좀 더 유예시켜주는 역할을 할 뿐이지 풀림 현상을 완전히 막아주지는 않기 때문이다. 나사가 축 직각방향에 약한 이유는 구조적인 이유이다. 축..
용접은 금속을 용융시켜 접합하는 공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하지만 용접 공정 중에 크랙이라는 결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용접 크랙은 용접부의 품질과 성능을 저하시키고, 이후 장비나 건축물에 사용되다가 품질저하로 인한 크랙 및 구조 붕괴 현상 등의 심각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크랙이란? 1. 용접부 균열은 접합무의 품질과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용접성에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입니다. 2. 용접부에는 용입부와 열영향부가 있는데, 해당 부분이 응력이나 온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균열이 생길 수 있습니다. 3. 균열은 용접부의 강도와 내구성을 떨어뜨리고, 누수나 파손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4. 방사선 사진을 통해 균열을 검사할 때는 저온 균열과 고온균열을 ..
기계구조용 탄소강은 기계를 구조적으로 지탱할 수 있는 탄소가 함유된 강재로, 탄소의 함유량에 따라 저탄소강, 중탄소강, 고탄소강으로 구분됩니다. 이번에는 기계구조용 강재로 흔히 쓰이는 저탄소강 SM20C와 중탄소강 SM45C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M20C와 SM45C는 주로 침탄 열처리를 하여 표면에 탄소를 스며들게 하여 표면의 경도를 높이고, 내마모성과 내식성을 향상시켜줍니다. * 침탄 열처리란 저탄소강의 표면에 탄소를 침투시켜 표면만 고탄소강으로 만드는 열처리 방법입니다. 표면은 경도가 높아지고, 내마모성이 향상되며, 내부는 인성이 유지됩니다. 침탄 열처리에는 고체 침탄, 액체 침탄, 가스 침탄, 진공 침탄 등의 종류가 있으며 기계부품의 표면 손상이나 마멸을 방지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표면 기술..
이번에 중국 출장을 가면서 이것저것 많이 준비했었는데, 반드시 해야하는 것들과 하면 좋은 것들을 추천하기 위해서 글을 쓰려고 합니다. 1. 비자 준비 출국 전까지 넉넉하게 잡아서 3~4주 전에 비자 발급을 해야 일정에 차질이 없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시간이 부족해서 급행으로 발급을 받았는데, 한 2주정도 걸렸습니다. 비자 신청 사이트는 [Visa for China] https://www.visaforchina.cn/globle/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단수여권의 경우 지문등록이 생략이 되기 때문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2. VPN 설치 중국에 들어가면 인터넷에 구글이나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톡 등이 작동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VPN을 챙기는 것이 좋습니다. VPN은 가상 사설망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