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매수가 아닌 매도에 관련된 내용을 다루게 되다니... 2달은 족히 걸릴 줄 알았는데 블로그에 재미가 들려서인지 금방 진도가 나갔던 거 같아서 나름 뿌듯하다. 매도하는데 실패하는 이유에 관련해서 한 번 알아보자. 대부분 주식을 처음 시작할 때 흔히 하는 실수가 매수 시점을 중요시 여기지만, 매수보다 더 중요한 매도를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는 점이다. 나도 그랬다. 어차피 결혼하기 전까지 팔 생각이 없다는 마음으로 무한 추격매수를 외쳤던게 2년전인데... 헛된 꿈이었다. 돌이켜보면 너무 빨리 매도를 해서 수익을 온전히 내지 못했던 주식들도 많았고, 펀더멘탈을 외치다가 빠져나가지 못해서 2년동안 물려있다가 겨우 빠져나온 주식들도 많았다. 이런 실수를 하는 이유는 뭘까? 바로 원칙없이 감에 따라 팔기 때..
헤드앤숄더차트만큼 역동적이지는 않지만, 알아두면 매수할 때 유용한 패턴인 이중바닥 패턴에 대해서 알아보자. 이중바닥패턴이란? 이중 바닥 차트는 하락 추세에서 주가가 두번의 저점을 찍고 반등하는 모양을 나타낸다. 생긴 모양이 W라 W차트라고도 불리는데, 최저점을 두 번 찍었기 때문에 바닥은 튼튼하고 상승으로 추세전환을 하는 강력한 차트 중 하나이다. 하지만, 이중바닥 차트에서 매수를 할 때 세 가지를 명심하자. 1. 두 번째 상승에서 이전의 고점 부근까지 올라가야 한다. 2. 돌파 때 거래량이 늘고 RS가 +를 넘고 상승해야한다. 3. 돌파 때 저항이 없어야 한다. 이중바닥패턴 파악하기 첫 저점인 A를 지나고 매도세가 감소하면서 반등하다가 두 번째 매도세가 커져 그 전의 저점(A점) 가까이 떨어졌다가 회복..
기도하는 모양이라던지 기형이매매법 다양한 차트 분석법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알아두면 생각보다 주기적으로 나오는 차트 패턴들이 있다. 특히 이번에 다루는 역헤드앤숄더패턴은 쉬운 차트이니 알아두면 유익하다. 역헤드앤숄더 1. 30일선이 하락세일 땐 구매하지 않는다. 2. 돌파시엔 반드시 거래량이 폭발적으로 늘어야한다. 주가가 크게 하락하고 바닥을 쳤을 때, 역헤드앤숄더가 보이면 상승세로 추세를 전환한다는 아주 강력하고 심플한 패턴이다. 그림을 봤을 때 양 어깨가 머리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룬 것처럼 보이는 대형이고, 주가 상승을 의미하는 역헤드앤숄더패턴 주가 하락을 의미하는 헤드앤숄더패턴으로 나뉜다. 역헤드앤숄더 패턴의 형성 1. 주가가 계속하락하여 새로운 저점을 형성하고, 과잉매도에 따른 상승 A를 통해 왼..
https://railshin.tistory.com/41 미국 기준금리 동결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오늘 새벽 기준금리를 동결했습니다. 미국 연준이 9월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5.25%에서 5.50%로 동결했고, 그러면서 연말에는 금리를 다시 한 번 올릴 가능성을 예고했습 railshin.tistory.com 2일전 새벽 파윌이 미국 기준금리 동결과 함께 연말에 금리를 올린다는 발언을 하고 나서 주식시장이 전반적으로 얼어붙었습니다. 어제 기준금리 관련 글을 쓰면서 구글과 테슬라를 매도를 할지말지 고민하던중... 테슬라는 그대로 남겨두고 우선 확실한 하향세라고 생각되어지는 구글부터 매도를 했습니다. 우선 판매한 근거는 절반으로 줄어든 RS와 이전 두터웠던 저항선(130불~150불)을 결국 뚫지 못하고 떨어지..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오늘 새벽 기준금리를 동결했습니다. 미국 연준이 9월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5.25%에서 5.50%로 동결했고, 그러면서 연말에는 금리를 다시 한 번 올릴 가능성을 예고했습니다 이전에 테슬라 주식 관련된 글을 쓸 때 금리인하보다는 금리인상쪽으로 초점을 두고 고금리를 오랫동안 유지할 거라고 판단했지만 제 생각이 틀렸네요. 시장에선 이미 고금리 유지를 예상하고 있었기 때문에, 관심사는 연준이 더 인상할지 여부였습니다. 9월에 금리인상을 생각했던 것도 사실 미국이 긴축 정책을 대폭 강화해오긴 했지만, 아직 효과를 제대로 보지 못했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연준이 5%대의 고금리를 1년이상 끌고 가려는 것은 고용과 성장이 냉각되지 않아 물가 상승률을 낮추기가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또한 유가 급..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