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머스크가 X를 전면 유료화 추진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일론머스크가 트위터를 인수한 이유, 왜 X로 바꿨는지 그리고 유료화의 목적이 뭔지 제가 정리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인수 이유 일론 머스크가 X를 인수한 사유는 다음과 같습니다.표현의 자유가 의미하는 건 나에 대한 최악의 비판자들도 트위터에 남아있는 것 1. 팔로워 8300만 명을 거느렸던 일론 머스크는 트위터를 애용하면서 '표현의 자유'를 줄곧 강조해왔습니다. 기존 트위터는 광고나 스팸들을 봇을 통해 규제해왔었는데, 일론머스크는 이를 규제하는 기준도 불명확할뿐더러 표현의 자유를 억제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제공하는 표현의 자유와 다양한 의견을 존중하고 보호하고자 하는 의지를 표출했습니다. 2. 머스크는 트위터가 자신의 다른 프로젝트에도 도움이 된다고 판..
원래는 좀 일찍 썼어야했는데.... 공기업 취업 관련해서 작성하느라 매매일지를 작성하는데 늦어져서 미안하다고 말하고 싶다. 이전에 테슬라가 200불 언더로 깨지게 될 경우 단계별로 구매를 하려고 했으나, 차트를 보다보니 추세가 변했다고 느껴 파란점(돌파), 초록점(풀백)시점에 2차례 걸쳐서 200만원 정도 구매를 했었다. 소량이라면 소량이지만... 초년생에게는 큰 돈이다. 차근차근 시드를 늘려보겠다. 9월 11일에 테슬라가 10%가량 오르면서, 이제 완전히 상승추세를 이뤘다고 판단되고 아마 직전 전고점인 299불을 향해 빠르게 상승할 거라고 예측된다. 다만 관건은 299불을 깰 수 있으냐 없느냐인데, 만약 299불을 깨게 된다면 400불까지 이렇다할 저항선이 없기 때문에 곧바로 400불까지 돌파할 가능성..
아래는 사면 안되는 주식 체크리스트다. 1. 전체 증시가 하락세면 주식을 매수하지 마라. - 전체 증시가 하락세면 대부분 호재가 있더라도 미미하고 떨어질 땐 확 떨어진다. 2. 흐름이 좋지 않은 업종에 속한 주식은 매수를 피해라 - 올라도 미미하게 오른다 3. 30주간의 MA아래에 있고 하락세 주식은 피해라 - 바닥이 아닐 수 있다 4. 주식이 상승세에 있더라도 꽤 시간이 오래 지난 주식은 매수하지 마라. - 잘못하면 정수리에서 구매할 수 있다. 특히 인터넷이나 친구들이 자랑하는 주식은 피해라. 자기 기대보다 수익을 많이 봤으니까 자랑하는 것이다. 5. 돌파 구간 때 거래량이 없으면 매수하지 마라. - 진짜 돌파가 아닐 가능성이 높다. 바로 떨어질 확률이 높다. 6. 위쪽으로 저항이 강한 주식은 매수하지..
유망한 종목을 선정했으면, 이제 대장주가 뭔지 그리고 오를만한 주식이 무엇인 판단해야한다. 1. 저항이 작아야한다. 이론을 여기까지 들은 사람들이라면 200저항선을 뚫지 못하고 180 지지선이 붕괴되어 새로운 지지선인 100과 130에서 또다른 저항 구역이 생겼다. 그리고 현재 16일 마침내 돌파가 발생하여 130불을 뚫고 주식이 오르니 구매를 해야한다고 생각을 할 것이다. 그렇다면, 꼭 구매를 해야할까? 사실 주식이라는 건 기회비용이라는게 있다. 위의 주식은 오를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주식이지만, 이왕이면 주식에 투자하는 거 큰 돈을 벌고 싶은 마음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이 주식의 행방은 어떻게 될까? 설령 돌파를 했다고 하더라도 이전의 지지구역이었던 180불이 새로운 저항선이 될 것이다. 영영 뚫..
[차트이론부터 첫걸음] 매수시점에 대해서 설명을 했는데, 가장 중요한 무엇을 사느냐를 얘기를 안 했다. 매수 시점만큼 중요한게 업종 선택이다. 차트를 통해 무엇을 사야하는지 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보겠다. 첫째, 시장의 흐름을 살펴야한다. 코로나가 막 터졌을 때 생각해봐라(과격한 표현이기는 하다. 양해바란다). 시장 흐름이 좋지 못한 상황에서는 어떤 주식이 돌파 시점을 지나도 신중하게 매수해야한다. 전체 시장이 좋지 않다는 건 수익날 확률이 작다는 뜻이다. 둘째, 상승세에 있는 섹터를 정해라. 테마주도 포함이다. 상승세를 타고 있는 섹터는 타 섹터와 다르게 주가가 가파르게 상승하기 때문이다. 셋째, 개별 종목을 고른다. 시장 흐름이 성장세고, 상승세에 있는 섹터를 찾아냈다면 이제 우리가 할 일은 "대..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